장조 (전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조는 전한 무제의 측근으로 발탁되어 중용되었으나, 회남왕 유안과의 친분으로 인해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주살된 인물이다. 현량으로 천거되어 무제의 주목을 받았으며, 민월과 남월 간의 분쟁에서 외교적 역할을 수행했다. 회계 태수로 임명되었으나, 보고가 늦어져 시중으로 좌천되었고, 유안의 모반 사건에 연루되어 정위 장탕의 반대로 인해 처형되었다.
장조는 군의 현량(賢良)으로 천거되어 무제의 주목을 받아 중대부로 발탁되었고, 주매신, 오구수왕, 사마상여 등과 함께 측근이 되었다. 장조는 그 중에서도 특히 중용되어 가장 먼저 출세하였다.
장조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전해지지 않는다.
2. 생애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 회남왕 유안의 모반이 발각되었다. 장조는 이전에 장안에 입조한 유안에게서 선물을 받고 은밀하게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어 연루되었다. 무제는 장조의 형벌을 가볍게 하려 했으나, 정위 장탕의 반대에 부딪혀 결국 주살되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장조는 무제가 현량(賢良)으로 천거하여 올린 답을 좋게 여겨 중대부로 발탁되었다. 주매신, 오구수왕, 사마상여, 주보언, 동방삭, 종군 등과 함께 무제의 측근으로 섬겼으며, 그중에서도 특별히 임용되었다.
건원 3년(기원전 138년), 민월이 동구를 공격하자, 동구는 한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 태위 전분은 "월의 인간들이 서로 공격하는 것은 늘 있는 일이며, 중국이 도우러 갈 필요가 없다"라고 답했지만, 장조는 이에 반박했다. 무제는 장조에게 절을 주어 회계로 파견했다. 회계태수가 법을 핑계로 군대를 내보내려 하지 않자 사마를 참수하여 본보기로 삼고, 군대를 출동시켜 동구를 구원하러 갔지만, 도착하기 전에 민월이 병력을 철수했다.
3년 후, 민월은 남월을 공격했다. 남월은 한나라와의 약속을 지켜 함부로 군대를 내보내지 않고 한나라에 보고했으므로, 무제는 약속을 지킨 것을 높이 평가했다. 무제는 장군 2명을 파견하여 민월을 토벌하게 했다. 회남왕 유안이 이를 간했지만, 민월은 한나라 군대가 도착하기 전에 왕의 동생이 왕을 죽이고 한나라에 항복했다. 무제는 남월에 자신의 의지를 전달하고, 또한 회남왕 유안을 기리기 위해 장조를 파견했다. 남월은 태자를 장조에게 수행시켜 한나라에 인질로 보냈다. 회남왕 유안은 장조와 친교를 맺었다.
2. 2. 민월과의 분쟁과 외교적 역할
건원 3년(기원전 138년), 민월이 동구(東甌)를 공격하자 동구는 한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태위 전분은 무제에게 도와줄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지만, 장조는 이에 반박하였다. 무제는 장조에게 부절을 주고 회계로 파견하였다. 회계태수가 법령을 핑계로 병력을 내어주지 않으려 하자 장조는 사마(司馬)를 참수하여 군의 기강을 바로 잡았다. 장조가 병력을 이끌고 동구를 구원하러 갔으나 도착하기 전에 민월이 물러갔다.
3년 후, 민월이 남월을 침공하였다. 남월은 과거 한나라와 맺은 약조를 지켜 함부로 출병하지 않고 한나라에 상황을 보고했다. 무제는 장군 둘을 보내 민월을 공격하게 했다. 회남왕 유안은 이를 만류하였으나, 한나라 군대가 온다는 소식을 들은 민월에서 왕의 아우 여선(餘善)이 왕을 죽이고 항복하였다. 무제는 남월에 자신의 뜻을 전하고, 또 유안을 치하하기 위하여 장조를 파견했다. 남월에서는 태자를 장조에게 인질로 보냈고, 유안은 장조와 친분을 맺었다.
2. 3. 회계 태수 임명과 좌천
건원 3년(기원전 138년), 민월이 동구를 공격하자 동구는 한나라에 도움을 요청했다. 무제가 태위 전분에게 묻자, 전분은 "월의 인간들이 서로 공격하는 것은 늘 있는 일이며, 중국이 도우러 갈 필요가 없다"라고 답했지만, 장조는 이에 반론했다. 무제는 전분의 의견에 반대하여 장조에게 절을 주어 회계로 파견했다. 회계 태수는 법을 핑계로 군대를 내보내려 하지 않자 사마를 참수하여 본보기로 삼고, 군대를 출동시켜 동구를 구원하러 갔지만, 도착하기 전에 민월이 병력을 철수했다.
3년 후, 민월은 남월을 공격했다. 남월은 한나라와의 약속을 지켜 함부로 군대를 내보내지 않고 한나라에 보고했으므로, 무제는 약속을 지킨 것을 높이 평가했다. 무제는 장군 2명을 파견하여 민월을 토벌하게 했다. 회남왕 유안이 이를 간했지만, 민월은 한나라 군대가 도착하기 전에 왕 추영의 동생 추여선이 추영을 죽이고 한나라에 항복했다. 무제는 남월에 자신의 의지를 전달하고, 회남왕 유안을 기리기 위해 장조를 파견했다. 남월은 태자를 장조에게 수행시켜 한나라에 인질로 보냈다. 회남왕 유안은 장조와 친교를 맺었다.
이후 무제가 장조에게 고향인 회계에 있을 때의 일을 묻자, 장조는 "집이 가난하여 친구에게 모욕을 받았습니다"라고 대답했다. 무제가 바라는 것이 없냐고 묻자, 장조는 회계 태수가 되기를 원했다. 그래서 장조는 회계 태수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회계에서는 수년간 아무런 소식도 없었다. 무제는 장조에게 "종횡가의 말이 아니라, '춘추'에 의해 답하라"고 해명하게 했다. 장조는 "주 양왕은 어머니를 섬길 수 없었기 때문에 왕으로 대우받지 못했습니다. 신하가 군주를 섬기는 것도,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것과 같은 일입니다. 3년 치 보고를 저 스스로 하도록 해주십시오"라고 대답했다. 무제는 이를 허락했고, 장조는 장안으로 가서 곧 시중이 되었다.
2. 4. 회남왕 유안과의 관계와 죽음
원수 원년(기원전 122년), 회남왕 유안의 모반 사건이 발각되었다. 장조는 이전에 장안에 입조한 유안에게서 선물을 받고 은밀하게 이야기를 나눈 적이 있어 연루되었다. 무제는 장조의 형벌을 가볍게 하려 했으나, 정위 장탕은 "황제의 측근이면서 제후와 사적으로 교제하는 것을 처벌하지 않으면 앞으로 통치할 수 없습니다"라고 반대하여, 결국 장조는 처형되었다.
장조와 회남왕 유안의 관계는 건원 6년(기원전 135년)에 시작되었다. 당시 민월이 남월을 침공하자, 무제는 장군 둘을 보내 민월을 쳤다. 회남왕 유안은 이에 반대했지만, 민월에서 왕의 동생 여선(餘善)이 왕을 죽이고 항복하였다. 무제는 남월에 자신의 뜻을 전하고 유안을 치하하기 위해 장조를 보냈다. 이때 남월은 태자를 장조에게 인질로 보냈고, 유안은 장조와 친분을 맺게 되었다.
3. 평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